권장 브라우저 안내

이 웹사이트는 Internet Explorer 9 버전 이상에서만 이용 가능합니다.
편리한 사이트 이용을 위하여 최신 브라우저로 업그레이드해주시기 바랍니다.

수도미터의 분류 및 선정

수도미터의 분류

  • 실측식 : 물을 일정 체적씩 담아서 측정하는 방식(주로 시험용)입니다.
  • 추축식 : 유속 또는 익근차의 회전 속도에 따라 실제 유량을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방식입니다.
  • 단갑식 : 유수가 한 개의 분류구를 통하여 익차에 회전을 주는 방식입니다.
  • 복갑식 : 유수가 하부외갑의 유입구를 통과하여 하부내갑의 여러 개의 분류구를 통하여 익차에 회전을 주는 방식입니다.
  • 습 식 : 유수가 눈금판까지 잠기는 방식입니다.
  • 건 식 : 유수가 눈금판에 스며들지 않는 방식입니다.
  • 액봉직동식 : '㎥'이상의 문자차가 특수액으로 봉합되어 있고, 숫자로 지시량을 표시하는 방식입니다.
  • 원격식 : 미터의 지시량을 전기적 신호로 바꿔 전송선을 따라 멀리 떨어져 있는 지시부에 전달하여 실량을 적산 기록하는 원격식 방식입니다.

수도미터의 선정

수도미터는 기종에 따라 성능이 다르고 수량에 따라서는 100% 계량할 수 없는 부분불감 유량영역이 있다. 또 수도미터의 능력을 초과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빠르게 열화(劣化)되어 비정상으로 되기도 한다. 이 때문에 저수조의 유·무, 급수전의 설치수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사용 수량의 최소, 상용, 최대유량을 산출해야 하며, 수도미터의 형식별 사용유량 기준이나 제작자의 카탈로그 등을 참고하여 선정한다. 특히 저수조가 지하층에 설치된 급수설비에서 배수관의 압력이 높은 경우에는 저수조로 단시간에 과대한 유량이 흐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정유량밸브 또는 감압밸브를 설치해야 한다. 적정한 형식 및 크기의 수도미터가 설치되었더라도 그 후의 사용 상태의 변화에 따라 빨리 고장을 일으키거나 볼감 수량이 증대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수도미터를 교체 할 때에는 필요에 따라 사용 실태에 적합한 수도미터의 기종으로 변경해야 한다.


수도미터는 실제의 사용상태와 설치장소에 따라 적합한 미터를 선정하여 주십시오.
  • 월트만식 : 압력손실이 적고 항상 통수량이 많은 곳에 적합합니다.
  • 부관부연결식 : 유량 변화가 심한곳, APT 등 Main Line에 적합 합니다.
  • 벤추리관 분류식 : 차압분류식으로 통수량이 많은 곳에 적합 합니다.
실제사용 유량에 따라 수도미터를 선정하여 주십시오.
  • 수도미터의 구경이 크게 되면 용량은 늘어나지만 감도는 떨어집니다.
  • 반대로 구경이 작아지면 감도 및 정도는 양호하나 많은 양의 물이 통과할 경우 과부하가 발생하여 수도미터의 내구력이 떨어집니다. 따라서 배관 구경만을 기준해서 미터를 선정하지 마시고 실제 사용 유량에 따라 적정한 형식 및 구경을 선정하여 주십시오.
  • 같은 급수관에서도 사용 장소에 따라 사용량의 큰 차이가 있기 때문에 적정한 형식의 미터를 선정하여 주십시오.

수도미터의 설치 시 유의사항

  • 수리 및 보수 유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여 주십시오.
  • 수도미터 설치 전 부속장치를 먼저 설치하십시오.
  • 미터의 입구 쪽에는 미터 구경의 10배(최소 5배), 출구 쪽에는 미터 구경의 5배(최소 3배) 이상의 직관(미터 구경과 동일)을 설치하여야 정확한 계측이 가능합니다.(미터의 전단에 밸브, 엘보, 펌프 등이 있을 경우에는 그 이상의 직관부를 유지해야 합니다.)
  • Valve 및 Pressure reducer 등은 가급적 미터 뒤쪽으로 설치하여 주십시오.
  • 수도미터를 설치할 때에는 모래나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하시고, 반드시 수평으로 설치하여 주십시오.
  • 수도미터는 겨울철에 동결 및 동파되지 않도록 보온 설치 하여 주십시오.
  • 수도미터는 정밀계기이므로 각 부에 심한 진동이나 외부 충격을 주지 않아야 합니다.
  • 운반 및 취급 시 반드시 Box 포장상태로 운반하여 주시고 국가 공인검정기관의 검정(시험)을 필한 봉인옥(봉인선)을 훼손하지 마십시오.

수도미터에 사용되는 용어

  • 실량(Actual volume, Va) : 시간과 무관하게 수도미터를 통과할 물의 총량
  • 지시량(Indicating volume, Vi) : 실량에 대응하여 수도미터가 지시한 물의 량
  • 유량(Flow rate, Q) : 단위 시간동안 수도미터를 통과한 물의 실량
  • 과부하유량(Excess flow rate, Q4) : 짧은 시간동안 최대허용 오차를 초과하지 않고 작동될 수 있는 가장 높은 유량으로 이후에는 정상의 상태로 작동되어야 한다.
  • 최대유량(Maximum flow rate, Q3) : 정격작동 조건하에 서의 가장 높은 유량, 여기서 정격작동이란 미터가 최대허용오차를 초과하지 않고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는 요구조건을 의미한다.
  • 전이유량(Transitional flow rate, Q2) : Q1과 Q3사이에 위치하는 유량으로 최대허용초차가 큰 영역과 작은 영역으로 구분되어지는 유량
  • 최소유량(Minimum flow rate, Q1) : 미터가 최대허용오차를 초과하지 않고 작동될 수 있는 가장 낮은 유량
  • 최대허용 온도(Maximum allowable temperature) : 미터가 성능과 기능을 유지하면서 정격작동 하에서 영구적으로 견딜 수 있는 물의 최고 온도
  • 최대허용 압력(Maximum allowable pressure) : 수도미터가 성능과 기능을 유지하면서 정격작동 하에서 영구적으로 견딜 수 있는 물의 최고 내부 압력
  • 최대허용 오차(Maximum acceptable error) : 기술기준에서 허용하는 수도미터 지시오차의 극한값
  • 오차(Error) : 지시량에서 실량을 뺀 값 (지시량 - 실량)
  • 지시오차(Index error) : 오차를 실량으로 나누어 100을 곱한 값을 백분율로 나타낸다. [(지시량 - 실량) x 100/실량] index_error
  • 정격작동조건(Rated operating conditions) : 최대오차를 초과하지 않고 오차 측정 시 수도미터에 요구되어지는 영향인자들의 조건범위